산안기59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1회 1부 1. 건물 해체작업 시 작성하여야 하는 해체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3가지 - 해체방법, 해체순서 도면 - 사업장 내 연락방법 - 해체물 처분계획 - 해체작업용 기계, 기구 등 작업계획서 - 해체작업용 화약류 등의 사용계획서 2. 화면에서 작업자는 섬유기계 작업을 하고 있다. 해당 사고의 핵심위험요인 2가지 (화면: 섬유기계 작업 중 갑자기 기계가 멈추자 작업자가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면장갑을 착용한 채 회전체의 덮개를 열고 안으로 들여다보며 점검하던 중 갑자기 기계가 작동하며 손이 끼이는 사고가 발생) -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기계점검을 실시 - 기계에 인터록장치(연동장치)가 설치되지 않음 - 장갑을 착용하고 기계점검을 실시 3. 화면은 고압선 주변에서 크레인이 작업하는 장면을 보여주고 있다. 고압선.. 2020. 7. 27.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3회 3부 1. 화면의 보호구를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보호구의 종류 - 암모니아용 방독마스크 (2) 방독마스크 정화통의 주성분 1가지 - 큐프라마이트 (3) 시험가스의 종류 - 암모니아 가스 (4) 직결식 방독마스크 전면형 누설률은? - 0.05% 이하 2. 화면에서 작업자는 폭발물질 저장소에 들어가기 위해 신발에 물을 묻히고있다. (1) 물을 묻히는 이유 (2) 폭발성물질 화재 시 적합한 소화방법 (1) 신발과 바닥 사이의 정전기로 인한 폭발 방지 (2) 다량의 주수에 의한 냉각소화 3. 마그네틱 크레인으로 금형을 옮기는 작업. 작업자가 한손으로 스위치를 조작하며 다른 손으로 금형을 잡고 이동하던 중 스위치를 잘못 건드려 금형이 발에 떨어지는 사고. (크레인 훅에는 해지장치가 없음, 안전모 미착용, .. 2020. 7. 26.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3회 2부 1. 화면에서 작업자는 습윤한 장소에서 모터보트의 모터부위를 점검하던 중 감전을 당하였다. 동종재해 예방대책 3가지를 쓰시오 - 누전차단기 설치 - 수중에서 사용하는 전선은 수분 침투가 불가능한 것 사용 - 모터와 전선의 이음새 부분은 절연을 철저히 할 것 2. 밀폐공간에서 근로자가 작업하는 경우 위험요인 3가지 - 환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아 산소결핍의 위험 - 작업자가 송기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 질식 위험 - 작업 중 산소 및 유해가스농도를 측정하지 않아 질식 및 가스중독의 위험 - 송기마스크, 사다리 및 섬유로프 등 비상시 근로자를 피난시키거나 구출하기 위한 기구를 갖추지 않아 위험 3. 항타기, 항발기 작업 시 안전작업수칙 4가지 - 작업반경내 출입금지 조치 - 작업반경내 가설 울타리 설치 - 인접한.. 2020. 7. 26.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3회 1부 1. 화면에서 작업자는 컨베이어 작업을 하던 준 손이 협착되었다. 위 동영상을 보고 안전조치사항 2가지를 적으시오 (화면: 작업자가 야간에 한손으로 후레시를 들고 컨베이어 벨트를 점검하고 있다. 점검 중 부주의로 컨베이어 위에 올려둔 손이 롤러 사이에 말려들어가는 사고 발생) - 전원차단 후에 기계점검 실시 - 컨베이어에 비상정지장치 설치 - 작업시작 전 기계점검 실시 - 근로자 안전교육 실시 - 컨베이어 주변 조명 확보 2. 화면은 승강기 와이어로프에 묻은 기름과 먼지를 청소하는 장면을 보여준다. (1) 위험점의 종류, (2) 화면에서 예상되는 재해의 발생형태와 그 정의 (1) 접선물림점 (2) 재해발생형태: 끼임 정의: 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 직선 운동하는 물체 사이의 끼임, 회전부와 고정체 사이.. 2020. 7. 26.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2회 3부 1. 화면에서는 박공지붕 설치작업을 보여준다. 재해원인 3가지는 무엇인가? (박공지붕 위에서 박공지붕을 설치하던 중 작업자가 미끄러지며 박공지붕 재료와 함께 추락, 지붕 아래에는 다른 작업자가 누워서 휴식을 취하다 비래한 박공지붕에 맞는 사고 발생) - 추락방호망 미설치 - 안전대 미착용 - 안전난간 미설치 - 위험장소에서 근로자 휴식 2. 화면에서 작업자는 DMF 취급작업을 하고 있다. 위 동영상을 보고 DMF 작업 시 작업자가 착용해야 할 보호구 - 불침투성 보호복 (화학물질용 보호복) - 불침투성 보호장갑 (화학물질용 안전장갑) - 불침퉇성 보호장화 (화학물질용 안전화) - 호흡용보호구 (방독마스크) - 보안경 3. 화면에서 작업자는 황산을 취급하고 있다. 작업자는 맨손이며, 마스크를 미착용한 채로.. 2020. 7. 26. 이전 1 ··· 5 6 7 8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