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2회 3부

by Alan21 2020. 7. 26.
반응형

1. 화면에서는 박공지붕 설치작업을 보여준다. 재해원인 3가지는 무엇인가?

(박공지붕 위에서 박공지붕을 설치하던 중 작업자가 미끄러지며 박공지붕 재료와 함께 추락, 지붕 아래에는 다른 작업자가 누워서 휴식을 취하다 비래한 박공지붕에 맞는 사고 발생)

 

    - 추락방호망 미설치

    - 안전대 미착용

    - 안전난간 미설치

    - 위험장소에서 근로자 휴식

 

 

2. 화면에서 작업자는 DMF 취급작업을 하고 있다. 위 동영상을 보고 DMF 작업 시 작업자가 착용해야 할 보호구

 

    - 불침투성 보호복 (화학물질용 보호복)

    - 불침투성 보호장갑 (화학물질용 안전장갑)

    - 불침퉇성 보호장화 (화학물질용 안전화)

    - 호흡용보호구 (방독마스크)

    - 보안경

 

 

3. 화면에서 작업자는 황산을 취급하고 있다. 작업자는 맨손이며, 마스크를 미착용한 채로 황산을 비커에 따르는 작업을 하고 있다. 황산이 체내에 유입될 수 있는 경로 3가지

 

    - 호흡기

    - 소화기

    - 피부점막

 

 

4. 컨베이어의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4가지

 

    - 원동기 및 풀리 기능의 이상 유무

    - 이탈 등의 방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원동기, 회전부의 덮개 또는 울

 

 

5. 화면에서는 가죽제안전화를 보여준다. 가죽제 안전화의 성능시험 항목 3가지

 

    - 내충격성 시험

    - 내압박성 시험

    - 내답발성 시험

    - 박리저항 시험

    - 내유성 시험

 

6. 화면에서 작업자가 작동중인 컨베이어 벨트 끝부분에 올라서서 형광등을 교체하던 중 추락하는 장면을 보여준다.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 2가지

 

    - 안전한 작업발판을 사용하지 않고 컨베이어 벨트에 올라서서 형광등을 교체

    - 움직이는 기계 주변에서 작업할 경우 기계의 전원을 차단하고 작업하여야 하나 컨베이어 전원을 차단하지 않음

 

 

7. 화면에서 작업자는 기계를 점검하다 회전축에 의한 협착하고를 당하였다. 해당되는 위험점의 종류와 정의를 적으시오

 

    (1) 위험점 종류: 회전말림점

    (2) 정의: 회전하는 물체에 말려 들어가는 위험점

 

 

8. 화면은 터널발파작업을 보여준다. 화약장전 시 안전사항 (화면에서 철근으로 화약으 장전하는 장면을 보여줌)

 

    - 마찰, 충격, 정전기 등에 의한 폭발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것을 사용할 것

 

 

9. 전기형강 작업 중 작업자의 위험요인 3가지 (화면에 작업자는 전봇대의 발판을 딛고 작업, 작업 중 흡연하는 장면, COS가 발판 옆에 걸쳐져 있음)

 

    - 작업 중 흡연

    -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음 (U자걸이 안전대 착용)

    - C.O.S (Cut Out Switch)를 발판 옆에 걸쳐놓아 오조작 할 우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