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3회 3부

2020. 7. 26. 21:19공부/산업안전기사 작업형

1. 화면의 보호구를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보호구의 종류

        - 암모니아용 방독마스크

 

    (2) 방독마스크 정화통의 주성분 1가지

        - 큐프라마이트

 

    (3) 시험가스의 종류

        - 암모니아 가스

 

    (4) 직결식 방독마스크 전면형 누설률은?

        - 0.05% 이하

 

 

2. 화면에서 작업자는 폭발물질 저장소에 들어가기 위해 신발에 물을 묻히고있다. 

 

    (1) 물을 묻히는 이유

    (2) 폭발성물질 화재 시 적합한 소화방법


    (1) 신발과 바닥 사이의 정전기로 인한 폭발 방지

    (2) 다량의 주수에 의한 냉각소화

 

 

3. 마그네틱 크레인으로 금형을 옮기는 작업. 작업자가 한손으로 스위치를 조작하며 다른 손으로 금형을 잡고 이동하던 중 스위치를 잘못 건드려 금형이 발에 떨어지는 사고. (크레인 훅에는 해지장치가 없음, 안전모 미착용, 면장갑 착용) 화면에서와 같은 크레인으로 화물을 옮기는 작업에서의 위험요인 3가지

 

    - 한손으로 스위치를 조작하며 다른 손으로금형을 잡고 이동하고 있어 스위치 오조작 우려

    - 크레인에 해지장치가 없어 화물이 낙하할 우려

    - 안전모를 미착용하여 낙하하는 화물에 머리를 다칠 우려

 

 

4. 승강기의 컨트롤패널 점검 작업

(화면: 작업자는 컨트롤 패널을 점검하기 위해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전선을 만지는 순간 감전)

 

    (1) 화면과 같은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 3가지

    (2) 작업자가 감전당한 원인


    (1) 정전작업 시의 조치사항

        - 절연장갑을 착용할 것

        - 전원을 차단 후 각 단로기 등을 개방하고 확인할 것

        - 잔류전하를 완전히 방전시키고, 단락 접지 기구를 이용하여 접지할 것

 

    (2) 잔류전하에 의한 감전 

        * 잔류정하를 방전한 후 검전기로 확인한 모습이 보인다면 "오통전에 의한 감전"

 

 

5. 화면에서는 유해물 취급 작업을 보여준다. 유해물 취급 시 주의사항 3가지

 

    - 유해물질 발새원인 봉쇄

    - 작업공정 은폐, 작업장 격리

    - 유해물의 위치, 작업공정 변경

 

6. 작업자는 전주의 발판에 올라서, 변압기 볼트를 조이는 작업을 하는 중. 작업 위험요인 2가지

(화면: 안전대를 착용 중이나 전주에 고정하지 않음)

 

    - 작업발판이 불안

    - 안전대를 전주에 고정하지 않아 위험

 

 

7. 터널의 계측관리 사항(계측방법) 3가지

 

    - 천단침하 측정

    - 내공변위 측정

    - 지중 및 지표침하 측정

    - 록볼트 축력 측정

    - 숏크리트 응력 측정

 

 

8. 작업자 띠톱을 이용하여 강재 파이프를 절단하는 작업. 사고의 위험요인 3가지 

(화면: 작업자 면장갑 착용, 보안경 착용하지 않음, 띠톱으로 강재 파이프를 절단하고 절단한 재료를 꺼내기 위해 머리를 숙여 꺼내드는 순간 회전하는 띠톱에 면장갑이 걸리며 사고발생)

 

    - 면장갑을 착용하고 작업 (띠톱작업 시 면장갑 착용금지)

    - 띠톱이 회전중에 재료를 꺼냄 (회전을 중지하고 재료를 꺼내야 함)

    - 보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있어 분진이 눈에 들어갈 우려

 

 

9. 타워크리인을 이용하여비계를 운반 중 발생한 재해를 보여준다. 준수하지 않은 안전작업방법 3가지

(화면: 타워크레인으로 비계를 운반하여 지면에 내려놓는 작업을 하던 중 비계가 흔들리며 크레인 아래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와 충돌)

 

    - 크레인으로 하물을 인양하는 하부에는 미리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하여야 하나 출입을 통제하지 않음

    - 유도(보조)로프로 흔들림 방지하여야 하나 유도로프를 사용하지 않음

    - 하물을 내려놓기 위해 하물을 흔들어서는 안됨

    - 신호수를 배치하지 않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