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업자는 에어배관 점검을 하던 중 눈 재해를 당함. 사고원인 2가지
- 배관 내 잔압을 제거하지 않고 배관을 점검
- 보안경을 착용하지 않음
2. 용접용 보안면.
(1) 용접용 보안면의 등급을 나누는 기준
(2) 용접용 보안면의 투과율의 종류
(1) 차광도 번호
(2) 투과율의 종류
- 자외선 최대 분광 투과율
- 자외선투과율
- 시감투과율
3. 화면의 재해사례(롤러기 작업)에서 나타나는 위험점을 기계운동형태에 따라 분류
(1) 위험점의 명칭
(2) 위험점의 정의
(1) 물림점
(2) 회전하는 두 개의 회전체에 물려 들어가는 위험점
4. 지하에 위치한 폐수처리조의 슬러지처리 작업. 화면과 같은 작업을 하는 경우 착용해야할 호흡용 보호구 종류 2가지
- 송기마스크
- 공기호흡기
5. 근로자들이 휴식시간에 건물옥상 변전실 부근에서 공놀이 중.
(화면: 공이 변전실 울타리 안쪽으 변압기의 충전부에 떨어져 공을 줍기 위해 근로자가 출입문을 통해 들어가 공을 꺼내는 장면)
(1) 예상되는 재해의 종류
(2) 재해방지대책 4가지
(1) 전원접촉(감전)
(2) 재해방지대책
- 변전실 출입구에 잠금장치를 할 것
- 전원차단 확인 후 공을 제거할 것
- 변전실 주변에 안전표지판 부착할 것(전기위험, 관계자 외 출입금지)
- 작업자에게 안전교육을 실시할 것
6. 철골작업. 철골작업 시 작업을 중지해야하는 경우 3가지
- 풍속 10m/s 이상
- 강우량 1mm/hr 이상
- 강설량 1cm/hr 이상
7. 컨베이어 작업
(1) 화물의 낙하로 인해 근로자에게 위험 미칠 때 낙하위험 방지조치 2가지
(2) 컨베이어에 근로자의 신체 일부가 협착 되었을 경우 필요한 방호조치
(1) 낙하위험 방호조치
- 덮개
- 울
(2) 비상정지장치
8. 작업자는 공장 지붕에서 패널설치 작업 중 실족으로 추락
(1) 재해발생 원인 2가지
(2) 안전대책 2가지
(1) 원인
- 안전대 미착용
- 안전난간 미설치
- 추락방호망 미설치
- 주변 정리정돈 불량
(2) 안전대책
- 안전대 착용
- 안전난간 설치
- 추락방호망 설치
- 주변 정리정돈 철저
9. 분전반 앞에서 그라인더 작업을 하기 위해 작업자가 맨손으로 콘센트를 잡고 차단기를 올리는 순간 감전 발생. 재해발생원인 2가지
- 맨손으로 전기를 조작 (절연장갑을 착용하지 않음)
- 전기 기계기구의 점검이 불량 (누전차단기 불량)
'공부 >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7년 1회 3부 (0) | 2020.07.30 |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7년 1회 2부 (0) | 2020.07.30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6년 3회 3부 (0) | 2020.07.29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6년 3회 2부 (0) | 2020.07.28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6년 3회 1부 (0) | 2020.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