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6년 3회 1부

2020. 7. 28. 23:36공부/산업안전기사 작업형

1. 밀폐공간에서 작업하는 경우 관리감독자의 직무 3가지

 

    - 산소가 결핍된 공기나 유해가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작업 시작 전에 해당 근로자의 작업을 지휘하는 업무
    - 작업을 하는 장소의 공기가 적절한지를 작업 시작 전에 측정하는 업무
    - 측정장비, 환기장치 또는 송기마스크 등을 작업 시작 전에 점검하는 업무
    - 근로자에게 송기마스크 등의 착용을 지도하고 착용 상황을 점검하는 업무    

 

2. 작업자는 전동권선기에 동선을 감는 작업 중. 작업 중 기계가 정지하여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점검 중 발생한 재해

 

    (1) 재해발생형태   
    (2) 재해원인 2가지

 

    (1) 전류접촉(감전)   
    (2) 재해원인      
       -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기계점검 실시
       - 절연장갑 미착용
       - 작업시작 전 기계점검 미실시

 

 

3. 화면에는 녹색 정화통의 방독마스크를 보여준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화면에 해당하는 방독마스의 종류

    (2) 방독마스크 정화통의 주성분 1가지

    (3) 화면에 해당하는 방독마스크 정화통의 시험가스 종류

    (4) 화면에 해당하는 방독마스크 형식

 

    (1) 암모니아용 방독마스크

    (2) 큐프라마이트

    (3) 암모니아 가스

    (4) 격리식(전면형)

 

 

4. 교류아크 용접작업 중 재해가 발생한 사례

 

    (1) 기인물

    (2) 이 작업시 눈과 감전재해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해야할 보호구 명칭 2가지

 

    (1) 교류아크용접기

    (2) 보안면(용접용보안면), 절연장갑, 절연화

 

 

5. 작업자는 피트의 뚜껑을 열고 나무발판에 올라선 채 플래시를 비추며 피트 내부를 점검하던 중 발이 미끄러지며 피트로 추락하는 사고 발생. 동영상에서와 같은 작업 시 준수하여야 할 작업안전수칙 3가지 

 

    - 안전한 작업발판 확보하고 작업

    - 작업자 안전대 착용

    - 피트 내 추락방호망 설치

 

6. 지하에 위치한 폐수처리조의 슬러지처리 작업. 화면과 같은 작업을 하는 경우 착용하여야 할 호흡용보호구의 종류 2가지

 

    - 송기마스크

    - 공기호흡기

 

 

7. 박공지붕 설치작업. 

(화면: 박공지붕 위에서 박공지붕을 설치하던 중 작업자가 미끄러지며 박공지붕 재료와 함께 추락. 지붕 아래에는 다른 작업자가 누워서 휴식을 취하다 비래하는 박공지붕에 맞는 사고 발생)

 

    (1) 재해원인 3가지

    (2) 박공지붕 비래에 의한 재해 발생, 가해물은?

 

    (1) 재해원인 

       - 추락방호망 미설치

       - 안전대 미착용

       - 안전난간 미설치

       - 위험장소에서 근로자 휴식 취함

 

    (2) 박공지붕

 

 

8.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비계를 운반 중 발생한 재해. 이 사고는 타워크레인의 안전작업방법 중 어느 부분을 준수하지 않아 발생하였는지 3가지 쓰시오

(화면: 타워크레인으로 비계를 운반하여 지면에 내려놓는 작업을 하던 중 비계가 흔들리며 크레인 아래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와 충돌)

 

    - 크레인으로 하물을 인양하는 하부에는 미리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하여야 하나, 출입을 통제하지 않음

    - 유도(보조)로프로 흔들림 방지를 하여야 하나 유도로프를 사용하지 않음

    - 하물을 내려놓기 위해 하물을 흔들어서는 안됨

    - 신호수를 배치하지 않음

 

 

9. 작업자가 작동 중인 컨베이어 벨트 끝부분에 올라서서 형광등을 교체하던 중 추락하는 장면. 작업자의 불안전행동 2가지

 

    - 안전한 작업발판을 사용하지 않고 컨베이어 벨트에 올라서서 형광등을 교체

    - 움직이는 기계 주변에서 작업할 경우 기계의 전원을 차단하고 작업하여야 하나 컨베이어 전원을 차단하지 않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