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6년 3회 3부

2020. 7. 29. 01:24공부/산업안전기사 작업형

1. 다음에서 주어진 방열복의 질량은?

 

    - 방열상의 : ( 1 )

    - 방열하의 : ( 2 )

    - 방열일체복 : ( 3 )

    - 방열장갑 : ( 4 )

    - 방열두건 : ( 5 )

 

    (1) 3.0 kg

    (2) 2.0 kg

    (3) 4.2 kg

    (4) 0.5 kg

    (5) 2.0 kg

 

 

2. 화면은 변압기를 유기화합물에 담가 절연처리한 후 건조하는 작업. 화면과 같은 작업에 착용해야할 보호구

 

    (1) 손

    (2) 눈

    (3) 피부

 

    (1) 화학물질용 안전장갑

    (2) 보안경

    (3) 화학물질용 보호복

 

 

3. 목재용가공용 둥근톱 기계이 고정식 톱날접촉예방장치(덮개)를 설치하고자 한다. 

 

    (1) 하단과 테이블 사이의 높이

    (2) 하단과 가공재 사이의 간격

 

    (1) 25mm 이내

    (2) 8mm 이내

 

 

4. 작업자는 버스정비작업 중

 

    (1) 작업자가 버스 아래에 들어가 정비작업을 하는 경우 안전조치사항 3가지

    (2) 작업 중 근로자가 샤프트에 재해를 당함. 위험점의 종류

 

    (1) 안전조치사항

       - 버스 시동장치에 잠금장치를 할 것

       - 열쇠를 뽑아 별도 관리할 것

       - "정비 중" 표지판 설치할 것

       - 작업지휘자 배치할 것

 

    (2) 회전말림점

 

 

5. 이동식크레인으로 배관을 운반하는 작업 중. 작업 중 위험요소 2가지

(화면: 배관을 한 줄걸이 상태로 불안하게 운반, 와이어로프의 일부분이 손상된 모습, 작업자가 배관을 손으로 지지하다 배관이 흔들리며 작업자가 배관에 맞는 사고 발생)

 

    - 작업반경 내 관계근로자 외 출입금지 조치

    - 줄걸이 방법 확인

    - 와이어로프 상태 점검

    - 훅의 해지장치 상태 확인

 

6. 습윤한 장소에서 설치된 이동전선. 습윤한 장소에서 사용되는 이동전선에 대한 사용 전 조치사항 3가지

 

    - 이동전선은 충분한 절연효과가 있는 것을 사용

    - 전선을 서로 접속하는 때에는 충분히 피복하거나 적합한 접속기구 사용

    - 이동전선은 절연피복 손상, 노화로 인한 감전방지 위해 필요한 조치할 것

 

 

7. 화면에서 작업자 2명이 화물을 들어 올리는 작업을 하는 중. 승강기 개구부에서 한 명의 작업자는 위에서 안전난간에 로프를 걸쳐 화물을 끌어올리고 있으며, 다른 작업자는 밑에서 화물을 올려주는 작업을 하는 중. 작업 중 인양하던 화물이 떨어지며 밑에 있던 작업자가 화물에 맞는 사고 발생. 동종 재해 방지를 위함 화물인양 시의 준수사항 2가지

 

    - 안전난간에 로프를 걸치고 화물을 끌어올리는 작업해서는 안된다  

    - 손상된 로프 사용 금지

    - 중량물은 양중장비를 활용 할 것

    - 작업자는 안전모 등 보호구를 착용할 것

 

 

8. 작업자는 폭발성물질 저장소에 들어가기 위해 신발에 물을 묻히고 있음

 

    (1) 물을 묻히는 이유

    (2) 폭발성물질 화재 시 적합한 소화방법

 

    (1) 신발과 바닥 사이의 정전기로 인한 폭발방지

    (2) 다량의 주수에 의한 냉각소화

 

 

9. 고압선 주변에서 크레인이 작업하는 장면. 고압선 주변에서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작업할 경우 안전대책 3가지

 

    - 차량 등을 충전부로부터 300cm 이상 이격시키되, 대지전압이 50kV를 넘는 경우 10kV 증가할때 마다 10cm씩 증가

    -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한 경우, 이격거리를 절연용 방호구 앞면까지

    - 근로자가 차량과 접촉하지 않도록 울타리를 설치하거나 감시인 배치 등의 조치

    - 충전전로 인근에서 접지된 차량 등이 충전전로와 접촉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지상의 근로자가 접지점에 접촉하지 않도록 조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