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73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3회 2부 1. 화면에서 작업자는 습윤한 장소에서 모터보트의 모터부위를 점검하던 중 감전을 당하였다. 동종재해 예방대책 3가지를 쓰시오 - 누전차단기 설치 - 수중에서 사용하는 전선은 수분 침투가 불가능한 것 사용 - 모터와 전선의 이음새 부분은 절연을 철저히 할 것 2. 밀폐공간에서 근로자가 작업하는 경우 위험요인 3가지 - 환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아 산소결핍의 위험 - 작업자가 송기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 질식 위험 - 작업 중 산소 및 유해가스농도를 측정하지 않아 질식 및 가스중독의 위험 - 송기마스크, 사다리 및 섬유로프 등 비상시 근로자를 피난시키거나 구출하기 위한 기구를 갖추지 않아 위험 3. 항타기, 항발기 작업 시 안전작업수칙 4가지 - 작업반경내 출입금지 조치 - 작업반경내 가설 울타리 설치 - 인접한.. 2020. 7. 26.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3회 1부 1. 화면에서 작업자는 컨베이어 작업을 하던 준 손이 협착되었다. 위 동영상을 보고 안전조치사항 2가지를 적으시오 (화면: 작업자가 야간에 한손으로 후레시를 들고 컨베이어 벨트를 점검하고 있다. 점검 중 부주의로 컨베이어 위에 올려둔 손이 롤러 사이에 말려들어가는 사고 발생) - 전원차단 후에 기계점검 실시 - 컨베이어에 비상정지장치 설치 - 작업시작 전 기계점검 실시 - 근로자 안전교육 실시 - 컨베이어 주변 조명 확보 2. 화면은 승강기 와이어로프에 묻은 기름과 먼지를 청소하는 장면을 보여준다. (1) 위험점의 종류, (2) 화면에서 예상되는 재해의 발생형태와 그 정의 (1) 접선물림점 (2) 재해발생형태: 끼임 정의: 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 직선 운동하는 물체 사이의 끼임, 회전부와 고정체 사이.. 2020. 7. 26.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2회 3부 1. 화면에서는 박공지붕 설치작업을 보여준다. 재해원인 3가지는 무엇인가? (박공지붕 위에서 박공지붕을 설치하던 중 작업자가 미끄러지며 박공지붕 재료와 함께 추락, 지붕 아래에는 다른 작업자가 누워서 휴식을 취하다 비래한 박공지붕에 맞는 사고 발생) - 추락방호망 미설치 - 안전대 미착용 - 안전난간 미설치 - 위험장소에서 근로자 휴식 2. 화면에서 작업자는 DMF 취급작업을 하고 있다. 위 동영상을 보고 DMF 작업 시 작업자가 착용해야 할 보호구 - 불침투성 보호복 (화학물질용 보호복) - 불침투성 보호장갑 (화학물질용 안전장갑) - 불침퉇성 보호장화 (화학물질용 안전화) - 호흡용보호구 (방독마스크) - 보안경 3. 화면에서 작업자는 황산을 취급하고 있다. 작업자는 맨손이며, 마스크를 미착용한 채로.. 2020. 7. 26.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2회 2부 1. 퍼지작업의 종류 4가지 - 진공퍼지 - 압력퍼지 - 스위프퍼지 - 사이폰퍼지 2. 화면에서 작업자는 회전하는 롤러기의 롤러를 걸레로 청소하고 있다. 작업 중 근로자의 손이 롤러에 말려드는 사고가 발생. 롤러기 청소 시 안전작업 사항 3가지 - 롤러기 운전을 정지하고 청소 - 장갑 착용을 금지 - 롤러기에 인터록 장치를 설치 3. 화면에서 보여주는 (1) 보호구의 명칭, (2) 보호구의 구조 3가지 (1) 안전블록 (2) 안전블록이 부착된 안전대의 구조 - 안전블록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안전대는 신체지지의 방법으로 안전그네만을 사용할 것 - 안전블록은 정격 사용 길이가 명시 될 것 - 안전블록의 줄은 합셩섬유로프, 웨빙, 와이어로프이어야 하며, 와이어로프인 경우 최소지름이 4mm 이상일 것 4. 화면에.. 2020. 7. 26.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2회 1부 1. 화면에서 작업자는 철골 위에서 발판설치 작업을 하고 있다. 작업자가 발판위를 지나가다 땅으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1) 사고유형, (2) 기인물 을 적으시오 (1) 떨어짐 (2) 발판 2. 크레인을 이용하여 활선전로에 인접하여 전주 세우기 작업을 하던 중 크레인이 전로에 접촉하며 운전자거 감전을 당하는 재해가 발생하였다. 동종재해를 발지하기 위한 관리적 대책 3 가지 - 차량 등을 충전부로부터 300cm 이상 이격시키되, 대지전압이 50kV를 넘는 경우 10kV 증가할 때마다 10cm씩 증가 - 절연용 보호구를 설치한 경우: 이격거리를 절연용 방호구 앞면까지 - 근로자가 차량과 접촉하지 않도록 울타리를 설치하거나 감시인 배치 등의 조치 - 접지된 차량 등이 충전전로와 접촉할 우려가 있을 경.. 2020.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