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면에서 작업자는 석면취급 작업을 하고있다. 안전작업수칙 3가지
-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여 가동할 것
- 다른 작업장소와 격리할 것
- 석면을 사용하는 설비는 밀폐된 장소에 설치할 것
- 바닥은 불침투성 재료를 사용하고 청소하기 쉬운 구조로 할 것
- 석면이 흩날리지 않도록 습기를 유지할 것
- 근로자가 담배를 피우거나 음식물을 먹지 않도록 할 것
- 방진마스크 착용할 것(특급)
2. 화면에서는 항타기, 항발기 작업을 보여준다. 항타기, 항발기 조립 시 점검해야 할 사항 3가지
- 본체의 연결부의 풀림 또는 손상의 유무
- 권상용 와이어로프, 드럼 및 도르래의 부착상태의 이상유무
- 권상장치의 브레이크 및 쐐기장치 기능의 이상유무
- 권상기의 설치상태의 이상 유무
- 버팀방법 및 고정상태의 이상 유무
3. 전주를 옮기는 작업을 하던 중 작업자가 전주에 맞아 사고를 당하였다. (1) 재해원인, (2) 가해물, (3) 전기작업 시 착용하여야 하는 안전모의 종류
(1) 재해원인
- 전주와의 충돌
(2) 가해물
- 전주
(3) 안전모의 종류
- AE형, ABE형
4. 화면에서 작업자는 섬유기계 작업을 하고 있다. 해당 사고의 핵심위험요인 2가지를 적으시오
(화면: 섬유기계 작업 중 갑자기 기계가 멈추자 작업자가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면장갑을 착용한 채 회전체의 덮개를 열고 안으로 들여다보며 점검하던 중 갑자기 기계가 작동하며 손이 끼이는 사고가 발생)
-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기계점검을 실시
- 기계에 인터록장치(연동장치)가 설치되지 않음
- 장갑을 착용하고 기계점검을 실시
5. 화면은 지게차 작업을 부여준다. 화면처럼 지게차에 적재된 화물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경우 운전자의 조치 3가지
- 하차하여 주변안전을 확인
- 유도자 배치하여 지게차를 유도
- 경보장치(경음기, 경보기 등)를 사용
6. 크레인을 이용하여 활선전로에 인접하여 전주 세우기 작업을 하던 중 크레인이 전로에 접촉하여 운전자가 감전을 당하는 재해가 발생하였다. 동종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관리적 대책 3가지
- 차량 등을 충전부로부터 300cm 이상 이격시키되, 대지전압이 50kV를 넘는 경우 10kV 증가할 때마다 10cm씩 증가
-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한경우: 이격거리를 절연용 방호구 앞면 까지
- 근로자가 차량과 접초되지 않도록 울타리를 설치하거나 감시인 배치 등의 조치
- 접지된 차량 등이 충전전로와 접촉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지상의 근로자가 접지점에 접촉하지 않도록 조치
7. 화면에서 작업자는 지게차에 경유를 주입하는 중이다. 지게차의 시동을 걸어둔 상태에서내려 다른 작업자와 담배를 피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동영상에서 가장 근본적인 위험 1가지
-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는 주변에서 담배를 피고 있어 화재, 폭발의 위험
8. 화면에서 작업자 2명이 화물을 들어 올리는 작업을 하고 있다. 승강기 개구부에서 한명의 작업자는 위에서 안전난간에 로프를 걸쳐 화물을 끌어올리고 있으며, 다른 작업자는 밑에서 화물으 올려주는 작업을 하고 있다. 작업 중 인양하던 화물이 떨어지며 밑에 있던 작업자가 화물에 맞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동종 재해 방지를 위한 화물인양시의 준수사항 2가지
- 안전난간에 로프를 걸치고 화물을 끌어올리는 작업을 해선 안됨
- 손상된 로프 사용 금지
- 중량물은 양중장비를 활용할 것
- 작업자는 안전모 등 보호구를 착용할 것
9. 화면의 보호구를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보호구의 종류
- 할로겐가스용 방독마스크
(2) 방독마스크 정화통의 주성분 1가지
- 활성탄, 소다라임
(3) 시험가스의 종류
- 염소가스
'공부 >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2회 3부 (0) | 2020.07.26 |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2회 2부 (0) | 2020.07.26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2회 1부 (0) | 2020.07.26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1회 2부 (0) | 2020.07.26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1회 1부 (0) | 2020.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