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면에서 작업자는 철골 위에서 발판설치 작업을 하고 있다. 작업자가 발판위를 지나가다 땅으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1) 사고유형, (2) 기인물 을 적으시오
(1) 떨어짐
(2) 발판
2. 크레인을 이용하여 활선전로에 인접하여 전주 세우기 작업을 하던 중 크레인이 전로에 접촉하며 운전자거 감전을 당하는 재해가 발생하였다. 동종재해를 발지하기 위한 관리적 대책 3 가지
- 차량 등을 충전부로부터 300cm 이상 이격시키되, 대지전압이 50kV를 넘는 경우 10kV 증가할 때마다 10cm씩 증가
- 절연용 보호구를 설치한 경우: 이격거리를 절연용 방호구 앞면까지
- 근로자가 차량과 접촉하지 않도록 울타리를 설치하거나 감시인 배치 등의 조치
- 접지된 차량 등이 충전전로와 접촉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지상의 근로자가 접지점에 접촉하지 않도록 조치
3. 화면에서 작업자는 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석면취급 작업을 하고 있다. 작업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으나 석면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직업병이 우려된다. (1) 그 이유 설명, (2) 장기간 석면에 노출될 경우 우려되는 직업병 종류 3가지
(1) 방진마스크(특급)을 착용하지 않고 면마스크 착용
(2) 폐암, 석면폐증, 악성 중피종
4.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승강기 개구부 주변에서 작업하던 근로자가 승강기 개구부로 추락하는 사고 발생
(1) 사고의 핵심원인 3가지
- 안전대 미착용
- 추락방호망 미설치(또는 불량)
- 안전난간 미설치(또는 불량)
- 작업발판 미설치(고정하지 않음)
- 주변 정리정돈 불량
(2) 작업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 해당 노동관서의 장에게 보고해야할 사항 4가지
- 발생기요 및 피해상황
- 조치 및 전망
- 그 밖의 중요한 사항
- 근로자 대표의 의견
5. 화면에서 작업자는 버스정비작업을 하고 있다. 작업자가 버스 아래에 들어가 정비작업을 하는 경우의 안전조치사항 3가지
- 버스 시동장치에 잠금장치를 할 것
- 열쇠를 뽑아 별도 관리할 것
- 정비 중 표지판 설치할 것
- 작업지휘자 배치 할 것
6. 이동식크레인 작업 시 작업전 점검사항 3가지
- 권과방지장치나 그 밖의 경보장치의 기능
- 브레이크, 클러치 및 조정장치의 기능
-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 상태
7. 화면에서 작업자는 물기가 많은 작업장에서 펌프 점검 중 수중펌프에 접촉하여 감전사고가 발생하였다. 작업자가 감전된 원인을 피부저항과 관련하여 설명
- 인체가 젖은 상태에서 피부저항은 1/25로 감소하기 때문에 감전되기 쉽다
8. 페인트 도장을 하는 작업자가 착용해야 하는 방독마스크 흡수제 종류 2가지
- 활성탄
- 소다라임
- 큐프라마이트
- 알랄리제재
9. 화면은 방열복을 보여준다. 방열복 내열원단의 시험성능 기준 3가지
- 난연성 시험
- 열충격 시험
- 인장강도 시험
- 내열성 시험
- 내한성 시험
'공부 >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2회 3부 (0) | 2020.07.26 |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2회 2부 (0) | 2020.07.26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1회 3부 (0) | 2020.07.26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1회 2부 (0) | 2020.07.26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4년 1회 1부 (0) | 2020.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