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기사59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2회 3부 1. 화면에서는 녹색 정화통의 방독마스크를 보여준다. 다음의 물음에 답하시오 (1) 화면에 해당하는 방독마스크의 종류 (2) 방독마스크 정화통의 주성분 1가지 (3) 화면에 해당하는 방독마스크 정화통의 시험가스 종류 (4) 화면에 해당하는 방독마스크의 형식 (1) 암모니아용 방독마스크 (2) 큐프라마이트 (3) 암모니아 가스 (4) 격리식 2. 무채 슬라이스 작업. 작업 중 기계작동이 멈춰 기계를 점검하고 있던 중 걸려있던 무채를 제거하는 순간 기계가 작동하며 재해가 발생. (1) 슬라이스 기계에서 무채를 썰아내는 부분에 존재하는 위험점 (2) 위험점의 정의 (3) 이 기계의 위험 포인트는 무엇인가? (4) 동종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안전장치 (5) 동종의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예방대책 .. 2020. 7. 27.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2회 2부 1. 두 명의 작업자가 작동중인 경사 컨베이어에서 물건을 컨베이어 위로 올리는 작업. 한 작업자는 컨베이어 양쪽 끝부분에 올라서서 물건을 받을 준비를 하고 있으며, 다른 작업자는 컨베이어 아래에서 물건을 올려 줌. 컨베이어 위에 서 있던 작업자의 발이 물건에 맞아 넘어지며 작업자의 팔이 컨베이어에 끼이는 사고 발생 (1) 불안전한 작업방법 2가지 - 컨베이어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작업 - 안전한 작업발판을 확보하지 않고 컨베이어 위에서 작업 (2) 사고시 조치해야할 사항 1가지 - 비상정지장치를 조작하여 컨베이어 운전을 정지시킨다 2. 건물 해체작업 시 작성해야하는 해체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3가지 - 해체방법, 해체순서 도면 - 사업장 내 연락방법 - 해체물 처분계획 - 해체작업용 기계, 기구 등의.. 2020. 7. 27.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2회 1부 1. 작업자는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을 화학약품에 세척하는 작업 중. 화면과 같은 작업을 하는 경우 착용해야할 보호구 3가지 - 호흡용보호구(방독마스크) - 보안경 - 보호장갑, 보호장화(화학물질용 안전장갑, 화학물질용 안전화) - 불침투성 보호복 (화학물질용 보호복) 2. 가죽제안전화. 가죽제 안전화의 성능시험 항목 3가지 - 내충격성 시험 - 내압박성 시험 - 내답발성 시험 - 박리저항 시험 - 내유성 시험 3. 크레인을 이용하여 활선전로에 인접하여 전주세우기 작업 중 크레인이 전로에 접촉하며 운전자가 감전당하는 재해, 동종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관리적 대책 3가지 - 차량 등을 충전부로부터 300cm 이상 이격시키되, 대지전압이 50kV를 넘는 경우 10kV 증가할 때 마다 10cm씩 증가 - 절연용.. 2020. 7. 27.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1회 3부 1. 화면의 보호구를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보호구의 종류 (2) 방독마스크 정화통의 주성분 1가지 (3) 시험가스의 종류 (4) 직결식 방독마스크 전면형의 누설률은? (1) 암모니아용 방독마스크 (2) 큐프라마이트 (3) 암모니아 가스 (4) 0.05% 이하 2. 컨베이어 작업. 컨베이어 작업 시작 전 점검사항 4가지 - 원동기 및 풀리기능의 이상 유무 - 이탈 등의 방지장치기능의 이상 유무 -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유무 - 원동기, 회전축 등 덮개 또는 울 등의 이상 유무 3. 두 작업자가 작업을 하던 중 한 작업자가 변압기의 2차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다른 작업자에게 전원을 투입하라는 신호. 측정 후 전원 차단하라는 신호를 보내고 측정기를 철거하던 중 감전 발생. 이때 작업자는 맨손으로.. 2020. 7. 27.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1회 2부 1. 화면은 고온의 스팀배관을 보수하기 위해 누출부위를 점검하는 장면을 보여준다. 예상되는 재해발생형태를 적으시오 - 이상온도 노출, 접촉 2. 화면에서 작업자가 작동중인 컨베이어 벨트 끝부분에 올라서서 형광등을 교차하던 중 추락하는 장면. 작업자의 불안전 행동 2가지 - 안전한 작업발판을 사용하지 않고 컨베이어 벨트에 올라서서 형광드을 교체 - 움직이는 기계 주변에서 작업할 경우 기계의 전원을 차단하고 작업하여야 하나 컨베이어 전원을 차단하지 않았다. 3. 화면에서 작업자는 버스 정비작업 중 (1) 작업자가 버스 아래에 들어가 정비작업을 하는 경우의 안전조치 사항 3가지 (2) 작업 중 근로자가 샤프트에 재해를 당했다. 위험점의 종류 (1) 안전조치사항 - 버스 시동장치에 잠금장치 할 것 - 열쇠를 뽑.. 2020. 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