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59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6년 1회 2부 1. 작업자는 파이프에 페인트 도장작업 중. 작업자가 착용해야하는 마스크의 종류와 마스크의 흡수제 종류 3가지 (1) 착용해야하는 마스크의 종류: 방독마스크 (2) 흡수제 종류: 큐프라마이트, 활성탄, 소다라임, 알칼리제재 2. 방열복. 방열복 내열원단의 시험성능 기준 3가지 - 난연성 시험 - 열충격 시험 - 인장강도 시험 - 내열성 시험 - 내한성 시험 3. 터널 등의 건설작업을 하는 경우 낙반 등에 의한 위험이 있을 때 위험방지조치 3가지 - 터널지보공 설치 - 록볼트의 설치 - 부석의 제거 4. 작업자는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충전전로에서 절연용 방호구 설치작업을 하는 중. 근로자는 화면과 같은 활선작업에서의 잠재 위험요인 2가지 - 근로자가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아 감전의 우려 - 충전전로에.. 2020. 7. 27.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6년 1회 1부 1. 작업자는 전주에서 전기형강 교체작업을 하던 중 추락사고 발생. 작업 위험요인 2가지 (화면: 작업자는 전주의 발판에 올라서서 작업 중, 안전대를 착용하고 있으나 전주에 안전대를 걸지 않고 작업) - 안전대를 작업대에 걸지않고 작업하고 있어 추락 위험 - 전주의 발판에 올라서서 작업하고 있어 작업발판이 불안 2. 높이 2m 이상인 작업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는 (1) 작업발판의 폭은 몇 cm, (2) 발판 틈새는 몇 cm 이하 가 적절 (1) 40cm (2) 3cm 3. 건설작업용 리프트의 안전을 확인하는 내용, 리프트의 작업시작 전 점검 2가지 - 와이어로프가 통하는 곳의 상태 - 방호장치 및 브레이크, 클러치의 기능 4. 산업안전보건법상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하는 기계, 기구 3가지 - 대지전압이 1.. 2020. 7. 27.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3회 3부 1. 작업자는 덤프트럭 적재함을 들어 올리고 수리하다 재해. 차량계 하역, 운반기계 등의 수리 또는 부속장치의 장착 및 해체작업을 하는 때 작업지휘자 준수사항 2가지 - 작업순서를 결정하고 작업을 지휘할 것 - 안전지지대 또는 안전블록 등의 사용상황 등을 점검할 것 2. 화면의 보호구를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보호구의 종류 (2) 방독마스크 정화통의 주성분 1가지 (3) 시험가스의 종류 (1) 암모니아용 방독마스크 (2) 큐프라마이트 (3) 암모니아 가스 3. 승강기 와이어로프에 묻은 기름과 먼지를 청소하는 장면. (1) 화면에서 예상되는 재해의 발생형태와 그 정의 (2) 위험점의 종류 (1) 끼임 - 두 물체 사이의 움직임에 의하여 일어난 것으로 직선 운동하는 물체 사이의 끼임, 회전부와 고.. 2020. 7. 27.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3회 2부 1. 작업자는 퍼지작업을 하고 있다. 퍼지작업의 종류 4가지 - 진공퍼지 - 압력퍼지 - 스위프퍼지 - 사이폰퍼지 2. 아래에 보이는 보호구의 (1) 명칭, (2) 등급을 3가지로 구분, (3) 산소농도 몇 % 이상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적으시오. (1) 방진마스크 (2) 특급, 1급, 2급 (3) 산소농도 18% 이상에서 사용 3. 항타기 작업. 다음 물음에 적합한 내용을 적으시오 -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장치의 드럼축과 권상장치로부터 첫번째 도르래의 축과의 거리를 권상장치의 드럼폭의 ( 1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도르래는 권상장치 드럼의 ( 2 )을 지나야 하며 축과 ( 3 )에 있어야 한다. (1) 15 (2) 중심 (3) 수직면상 4. 특수화학설비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 2020. 7. 27.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3회 1부 1. 습윤한 장소에서 감전재해 방지 및 이동전선 사용 시 점검사항 3가지를 쓰시오 (화면: 작업자들이 무채작업을 하는 장면, 작업자의 무릎정도로 물이 차 있는 상태에서 전기기구를 손으로 쥐고 작업을 하고 있으며, 이동전선은 물속에 잠겨 있는 상태) - 누전차단기 설치 - 수중에서 사용하는 전선은 수분 침투가 불가능한 것 사용 - 전선의 이음새 부분은 절연을 철저히 할 것 2. 가죽제 안전화. 가죽제 안전화의 뒷굽 높이를 제외한 몸통의 높이는? - 단화: 113mm 미만 - 중단화: 113mm 이상 - 장화: 178mm 이상 3. 크레인을 이용하여 활선전로에 인접하여 전주 세우기 작업을 하던 중 크레인이 전로에 접촉하며 운전자가 감전을 당하는 재해 발생. 동종재해 방지하기 위한 대책 3가지 - 차량 등을 .. 2020. 7. 27.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