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기사59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필답형 2016년 3회 1. 작업에서 근로자를 상시 취업시키는 장소의 조도기준을 쓰시오 - 초정밀작업: ( 1 ) lux - 정밀작업: ( 2 ) lux - 보통작업: ( 3 ) lux - 그 밖의 작업: ( 4 ) lux (1) 750 (2) 300 (3) 150 (4) 75 2. 관리대상 유해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장에 게시사항 5가지 -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명칭 -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취급상의 주의사항 - 착용하여야 할 보호구 - 응급조치와 긴급 방재 요령 3. 관리감독자 정기 안전,보건교육 내용 4가지 (단,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 생략) -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유해, 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 표준안전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에 관.. 2020. 7. 7.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필답형 2016년 2회 1.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 시 포함사항 16가지 중 보기사항을 뺀 4가지 [보기] (1)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2)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3) 취급 및 저장 방법 (4) 물리화학적 특성 (5) 폐기 시 주의사항 (6) 법적규제 현황 (7) 그 밖의 참고사항 - 유해성, 위험성 - 응급조치 요령 - 폭발, 화재 시 대처방법 - 누출 사고 시 대처방법 - 노출방지 및 개인 보호구 - 안정성 및 반응성 2.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4가지 - 공정안전자료 - 공정위험성 평가서 - 안전운전계획 - 비상조치계획 3. 기상상태의 악화로 작업을 중지시킨 후 비계를 조립, 해체하거나 변경 후 그 비계에서 작업하는 경우 해당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4가지 - .. 2020. 7. 7.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필답형 2016년 1회 1. 화물의 낙하에 의하여 지게차의 운전에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작업장에서 사용된 지게차의 헤드가드가 갖추어야 하는 사항 2가지 - 강도는 지게차의 최대하중 2배의 값의 등분포하중을 견딜 수 있을 것 - 상부틀의 각 개구의 폭 또는 길이가 16cm 미만일 것 2. 가연성 가스의 폭발등급 및 이에 대응하는 내압방폭구조의 폭발등급을 보고 ( )에 알맞은 내용 (1) 0.9 (2) 0.5 (3) 0.5 (4) C2H2 3. 다음 FT도에서 컷셋을 모두 구하시오 G1 = G2 * G3 = (11, 12, 13) * (14, 15, 16, 17) = (11, 14, 15, 16, 17) = (12, 14, 15, 16, 17) = (13, 14, 15, 16, 17) 4. 근로자가 반복하여 계속적으로 중량물을.. 2020. 7. 5.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필답형 2015년 3회 1. 연삭기의 덮개 각도를 쓰시오 (단, 이상, 이하, 이내를 정확이 구분해서 쓰시오) (1): 125º 이내 (2): 60º 이상 (3) 15º 이상 2. [보기]의 가스용접기의 색상을 쓰시오 [보기] (1) 산소 (2) 아세틸렌 (3) 암모니아 (4) 질소 (1) 녹색 (2) 황색 (3) 백색 (4) 회색 3. 위험예지훈련 4라운드의 진행방식 (1) 1단계: 현상파악 (2) 2단계: 본질추구 (3) 3단계: 대책수립 (4) 4단계: 목표설정 4. 접지공사 종류에 따른 접지선의 굵기 (단, 접지선의 굵기는 연동선의 직경 기준) (1) 공칭단면적 6mm2 이상의 연동선 (2) 공칭단면적 16mm2 이상의 연동선 (3) 공칭단면적 2.5mm2 이상의 연동선 (4) 공칭단면적 2.5mm2 이상의 연동선 5... 2020. 7. 4.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필답형 2015년 2회 1.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산업재해조사표를 작성하고자 한다. 재해발생 개요를 작성하시오. - 사출성형부 플라스틱 용기 생산 1팀 사출공정에서 재해자 S와 동료작업자 1명이 같이 작업 중이었으며 재해자 S가 사출성형기 2호기에서 플라스틱 용기를 꺼낸 후 금형을 점검하던 중 재해자가 점검중임을 모르던 동료근로자 H가 사출성형기 조작스위치를 가동하여 금형사이에 재해자가 끼어 사망하였다. 재해당시 사출성형기 도어인터록 장치는 설치가 되어있었으나 고장중이어서 기능을 상실한 상태였고, 점검과 관련하여 "수리중, 조작금지"의 안전표지판이나, 전원스위치 작동금지용 잠금장치는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료 근로자가 조작스위치를 잘못 조작하여 산업재해가 발생하였다. (1) 발생장소 : 사출성형부 플라스틱 용기 생산 1팀 사.. 2020.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