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안기59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7년 3회 2부 1. 보호구 중 안전화의 종류 5가지 - 가죽제 안전화 - 고무제 안전화 - 절연화 - 절연장화 - 정전기 안전화 - 발등 안전화 - 화학물질용 안전화 2. 작업자는 사출성형기 작동 중 기계가 멈추자 안을 들여다보며 기계 안에 끼인 이물질을 손으로 제거하다 감전으로 뒤로 넘어지는 재해를 당함. 사출성형기의 이물질 제거 작업 시 위험요인 3가지 -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이물을 제거하여 위험 - 사출성형기에 인터록장치가 설치되지 않음 - 이물질 제거 시 수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제거하고 있어 위험 3. 화면과 같은 전기형강 작업 시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대의 종류는? (화면: 작업자는 전보대의 작업발판을 딛고 작업을 하고 있는 상황) - U자걸이용 안전대 4. 화면에에서는 박공지붕 설치작업을 보여.. 2020. 7. 31.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7년 3회 1부 1. 탁상용 연삭기 작업. 탁상용 연삭기에 봉강 연마작업 중 환봉이 튀어 발생한 사고 (1) 기인물 (2) 연마 작업시 파편이나 연삭분의 비래에 의한 위험 대비하기 위한 설치해야하는 방호장치 명 (3) 탁상용 연마기의 숫돌과 가공면과의 각도 (1) 탁상용 연삭기 (2) 투명비산방지판 (3) 15~30도 2. 밀폐공간의 적정공기수준에 관한 내용이다. ( )에 적합한 숫자를 적으시오 - 적정한 공기라 함은 산소농도의 범위가 ( 1 )% 이상 ( 2 )% 미만, 탄산가스의 농도가 ( 3 )%미만,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 4 )ppm 미만, 황화수소의 농도가 ( 5 )ppm 미만인 수준의 공기를 말한다 (1) 18 (2) 23.5 (3) 1.5 (4) 30 (5) 10 3. 작업자는 면 마스크를 착용한 산태에서.. 2020. 7. 31.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7년 2회 3부 1. 비계의 작업발판. 비계 작업발판의 폭은 ( 1 )으로 하고, 발판재료간의 틈은 ( 2 )로 하여야 한다 (1) 40cm 이상 (2) 3cm 이하 2. 아파트 창틀에서 두 명의 작업자가 발판을 설치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한 작업자가 발판을 건네주고 다른 작업자가 설치하려고 이동하던 중 바닥으로 추락사고가 발생하였다. 주변 정리정돈이 되어있지 않고, 작업자가 밟고 있던 콘크리트 부스러기가 함께 떨어지는 장면을 보여준다. 위 사고에서 추락의 원인 3가지를 적으시오 - 안전대 미착용 - 추락방호망 미설치(또는 불량) - 안전난간 미설치(또는 불량) - 주변 정리정돈 불량 3. 안전대를 보여줌. (1) 화면과 같은 안전대의 명칭, (2) 그림에 해당하는 부위의 명칭 (1) 죔줄 (2) ① 훅, ② 카라비너.. 2020. 7. 30.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7년 2회 2부 1. 작업자는 황산 취급중. 작업자는 맨손, 마스크 미착용 채로 황산을 비커에 따르는 작업 중. 황산이 체내에 유입될 수 있는 경로 3가지 - 호흡기 - 소화기 - 피부 점막 2. 작업자 DMF 취급 작업. DMF 작업 시 작업자가 착용해야 할 보호구 - 불침투성 보호복(화학물질용 보호복) - 보호장갑 (화학물질용 안전장갑) - 보호장화 (화학물질용 안전화) - 호흡용보호구 (방독마스크) - 보안경 3. 화면에서 정화통 색이 녹색인 방독마스크를 보여줌. 화면의 보호구를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보호구의 종류 (2) 시험가스의 종류 (3) 중농도 방독마스크 파과시간은? (1) 암모니아용 방독마스크 (2) 암모니아 가스 (3) 40분 이상 4. 작업자는 프레스기계 작업을 하는 중. 작업자가 금형의 .. 2020. 7. 30.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7년 2회 1부 1. 이동식크레인 작업 시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3가지 - 권과방지장치나 그 박의 경보장치의 기능 - 브레이크, 클러치 및 조정장치의 기능 -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2. 작업자 스프레이건으로 파이프에 도장작업 중. 페인트 도장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착용하여야 하는 방독마스크의 흡수제 종류 3가지 - 활성탄 - 소다라임 - 큐프라마이트 - 알칼리제재 3. 방진마스크. 분리식 방진마스크의 여과재 분진 등 포집 효율을 적으시오 - 99.95 이상 - 94.0 이상 - 80.0 이상 4. 작업자는 컨베이어 작업을 하던 중 손 협착. 안전조치 사항 2가지 (화면: 작업자가 야간에 한손으로 플래시를 들고 컨베이어 벨트를 점검. 점검 중 부주의로 컨베이어 위에 올려둔 손이 롤러 사이에 .. 2020.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