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산업안전기사 필답형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안외워지는 것들

by Alan21 2020. 7. 8.
반응형

14. 자율안전 확인을 필한 제품에 대한 부분적 변경의 허용범위 3가지

- 자율안전기준에서 정한 기준에 미달되지 않는 것
- 주요구조부의 변경이 아닌 것
- 방호장치가 동일 종류로서 동등급 이상인 것
- 스위치, 계전기, 계기류 등의 부품이 동등급 이상인 것


8. 타워크레인 설치,조립,해체하는 작업 시 작업 계획서의 내용 4가지

- 타워크레인의 종류 및 형식
- 설치, 조립, 및 해체 순서
- 작업도구, 장비, 가설설비 및 방호설비
- 작업인원의 구성 및 작업근로자의 역할범위
- 지지방법


3. 기상상태의 악화로 작업을 중지시킨 후 비계를 조립, 해체하거나 변경 후 그 비계에서 작업하는 경우 해당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4가지 

 

    - 발판재료의 손상 여부 및 부착 또는 걸림상태

    - 해당 비계의 연결부 또는 접속부의 풀림상태

    - 연결재료 및 연결철물의 손상 또는 부식상태

    - 손잡이의 탈락여부

    - 기둥의 침하, 변형, 변위, 또는 흔들림 상태

    - 로프의 부착상태 및 매단장치의 흔들림 상태

 

13.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캐리오버 원인 4가지

    - 보일러수가 과익 농축됬을 때
    - 열 부하가 급격하게 변동해 증감 될 때
    - 운전 중 수위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 보일러의 운전 압력을 너무 낮게 설정한 경우
    - 기수분리기의 불량 등 기계적 고장


2.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사업주의 의무와 근로자의 의무 

     <사업주의 의무>
    - 해당 사업장의 안전, 보건에 관한 정보를 근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한편, 국가의 산업재해예방 시책에 따라야 한다.
    - 건설물을 설계, 건설하는 자는 설계, 제조, 수입 또는 건설을 할 때 법에 따라 그 건물을 사요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산업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근로자의 의무>
    - 근로자는 이 법과 이 법에 따른 명령으로 정하는 기준 등 산업재해 예방에 필요한 사항을 지켜야 한다.
    - 사업주 또는 근로감독관, 공단 등 관계자가 실시하는 산업재해 방지에 관한 조치에 따라야 한다. 


5.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회의록 작성사항 3가지

    - 개최 일시 및 장소
    - 출석위원
    - 심의 내용 및 의결, 결정 사항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내 안전, 보건교육에 있어 500명의 S사에서 30명 채용시교육 및 작업내용변경시의 교육 내용 4가지

     - 기계, 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 사고 발생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6. 사업주는 잠함 또는 우물통의 내부에서 근로자 굴착잡업을 하는 경우에 잠함 또는 우물톨의 급격한 침하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준수허야 할 사항을 2가지 쓰시오

     - 침하관계도에 따라 굴착방법 및 재하량 등을 정할 것
    - 바닥으로 천장 또는 보까지의 높이는 1.8m 이상으로 할 것


7. PHA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4가지 특징

    - 시스템의 모든 주요 사고를 식별하고 사고를 대략적으로 표현
    - 사고요인 식별
    - 사고를 가정한 후 시스템에 생기는 결과를 식별하고 평가
    - 식별된 사고를 파국적, 위기적, 한계적, 무시가능의 4가지 카테고리로 분리


10. 산업안전보건법상 관리감독자의 업무 4가지

     - 해당 사업장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에 관한 보고 및 이에 대한 응급조치
    - 해당 작업의 작업장 정리, 정돈 및 통로확보에 대한 확인, 감독
    - 해당 사업장의 산업보건의,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의 지도, 조언에 대한 협조
    - 관리감독자에게 소속된 근로자의 작업복, 보호구 및 방호장치의 점검과 그 착용,사용에 관한 교육, 지도


14. 위험성평가실시 순서

    (1) 평가대상의 선정 등 사전 준비
    (2) 근로자의 작업과 관계되는 유해, 위험요인의 파악
    (3) 파악된 유해, 위험요인별 위험성의 추정
    (4) 추정한 위험성이 허용 가능한 위험성인지 여부 결정
    (5) 위험성 감소대책의 수립 및 실행
    (6) 위험성평가 실시내용 및 결과에 관한 기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