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업자는 파이프에 페인트 도장작업 중. 작업자가 착용해야하는 마스크의 종류와 마스크의 흡수제 종류 3가지
(1) 착용해야하는 마스크의 종류: 방독마스크
(2) 흡수제 종류: 큐프라마이트, 활성탄, 소다라임, 알칼리제재
2. 방열복. 방열복 내열원단의 시험성능 기준 3가지
- 난연성 시험
- 열충격 시험
- 인장강도 시험
- 내열성 시험
- 내한성 시험
3. 터널 등의 건설작업을 하는 경우 낙반 등에 의한 위험이 있을 때 위험방지조치 3가지
- 터널지보공 설치
- 록볼트의 설치
- 부석의 제거
4. 작업자는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충전전로에서 절연용 방호구 설치작업을 하는 중. 근로자는 화면과 같은 활선작업에서의 잠재 위험요인 2가지
- 근로자가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아 감전의 우려
- 충전전로에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하지 않아 감전의 우려
- 근로자가 접근한계거리를 준수하지 않고 충전전로에 접근하여 감전의 우려
5. 아파트 창틀에서 창호설치 작업 중 근로자가 바닥으로 추락사고 발생
(1) 사고에서 추락의 원인 2가지
(2) 사고의 가해물
(1) 원인
- 안전대 미착용
- 추락방호망 미설치(또는 불량)
- 안전난간 미설치(또는 불량)
- 작업발판 미설치(고정하지 않음)
- 주변 정리정돈 불량
(2) 바닥
6. 지게차 작업. 지게차 작업 시 안정도
(1) 하역작업 시 전후 안정도
(2) 주행 시 전후 안정도
(3) 하역작업 시 좌우 안정도
(1) 4%
(2) 18%
(3) 6%
7. 도로상의 가설전선 점검 작업. 화면에서와 같은 작업 시 우려되는 (1) 재해유형의 정의, (2) 동종재해 예방대책 3가지
(1) 재해유형: 전류접촉(감전)
- 정의: 충전부 등에 신체의 일부가 직접 접촉하거나 유도전류의 통전, 아크에 접촉된 경우
(2) 동종재해 예방대책
- 전원을 차단하고 점검 실시
- 점검 시 작업자 절연장갑 착용
- 가설전선은 절연을 철저히 할 것
- 누전차단기 설치할 것
8. 작업자는 지게차에 경유를 주입하는 중. 지게차의 시동을 걸어둔 상태에서 내려 다른 작업자와 담배를 피며 이야기를 나눔. 가장 근본적인 위험 1가지 서술
-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는 주변에서 담배를 피고 있어 화재, 폭발의 위험
9. 작업자는 작업 중 고장난 양수기를 수리 중. 위험요인 3가지는?
(화면: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양수기를 수리하는 중, 동료와 잡담을 나누며 수공구를 던져주는 장면, 수리 중 벨트에 손이 말려들어가는 사고 발생)
-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수리하고 있어 손이 말려들어갈 우려
- 작업 중에 집중하지 않고 작업하다 손이 말려들어갈 우려
- 수공구를 던지다 수공구가 말려들어갈 우려
'공부 >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6년 2회 1부 (0) | 2020.07.28 |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6년 1회 3부 (0) | 2020.07.27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6년 1회 1부 (0) | 2020.07.27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3회 3부 (0) | 2020.07.27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3회 2부 (0) | 2020.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