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6년 1회 2부

by Alan21 2020. 7. 27.
반응형

1. 작업자는 파이프에 페인트 도장작업 중. 작업자가 착용해야하는 마스크의 종류와 마스크의 흡수제 종류 3가지

 

    (1) 착용해야하는 마스크의 종류: 방독마스크

    (2) 흡수제 종류: 큐프라마이트, 활성탄, 소다라임, 알칼리제재

 

 

2. 방열복. 방열복 내열원단의 시험성능 기준 3가지

 

    - 난연성 시험

    - 열충격 시험

    - 인장강도 시험

    - 내열성 시험

    - 내한성 시험

 

 

3. 터널 등의 건설작업을 하는 경우 낙반 등에 의한 위험이 있을 때 위험방지조치 3가지

 

    - 터널지보공 설치

    - 록볼트의 설치

    - 부석의 제거

 

 

4. 작업자는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충전전로에서 절연용 방호구 설치작업을 하는 중. 근로자는 화면과 같은 활선작업에서의 잠재 위험요인 2가지

 

    - 근로자가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아 감전의 우려

    - 충전전로에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하지 않아 감전의 우려

    - 근로자가 접근한계거리를 준수하지 않고 충전전로에 접근하여 감전의 우려

 

 

5. 아파트 창틀에서 창호설치 작업 중 근로자가 바닥으로 추락사고 발생

 

    (1) 사고에서 추락의 원인 2가지

    (2) 사고의 가해물

 

    (1) 원인

       - 안전대 미착용

       - 추락방호망 미설치(또는 불량)

       - 안전난간 미설치(또는 불량)

       - 작업발판 미설치(고정하지 않음)

       - 주변 정리정돈 불량

 

    (2) 바닥

 

6. 지게차 작업. 지게차 작업 시 안정도 

 

    (1) 하역작업 시 전후 안정도

    (2) 주행 시 전후 안정도

    (3) 하역작업 시 좌우 안정도

 

    (1) 4%

    (2) 18%

    (3) 6%

 

 

7. 도로상의 가설전선 점검 작업. 화면에서와 같은 작업 시 우려되는 (1) 재해유형의 정의, (2) 동종재해 예방대책 3가지

 

    (1) 재해유형: 전류접촉(감전)

       - 정의: 충전부 등에 신체의 일부가 직접 접촉하거나 유도전류의 통전, 아크에 접촉된 경우

 

    (2) 동종재해 예방대책

       - 전원을 차단하고 점검 실시

       - 점검 시 작업자 절연장갑 착용

       - 가설전선은 절연을 철저히 할 것

       - 누전차단기 설치할 것

 

 

8. 작업자는 지게차에 경유를 주입하는 중. 지게차의 시동을 걸어둔 상태에서 내려 다른 작업자와 담배를 피며 이야기를 나눔. 가장 근본적인 위험 1가지 서술 

 

    -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는 주변에서 담배를 피고 있어 화재, 폭발의 위험

 

 

9. 작업자는 작업 중 고장난 양수기를 수리 중. 위험요인 3가지는? 

(화면: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양수기를 수리하는 중, 동료와 잡담을 나누며 수공구를 던져주는 장면, 수리 중 벨트에 손이 말려들어가는 사고 발생)

 

    -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수리하고 있어 손이 말려들어갈 우려

    - 작업 중에 집중하지 않고 작업하다 손이 말려들어갈 우려

    - 수공구를 던지다 수공구가 말려들어갈 우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