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습윤한 장소에서 감전재해 방지 및 이동전선 사용 시 점검사항 3가지를 쓰시오
(화면: 작업자들이 무채작업을 하는 장면, 작업자의 무릎정도로 물이 차 있는 상태에서 전기기구를 손으로 쥐고 작업을 하고 있으며, 이동전선은 물속에 잠겨 있는 상태)
- 누전차단기 설치
- 수중에서 사용하는 전선은 수분 침투가 불가능한 것 사용
- 전선의 이음새 부분은 절연을 철저히 할 것
2. 가죽제 안전화. 가죽제 안전화의 뒷굽 높이를 제외한 몸통의 높이는?
- 단화: 113mm 미만
- 중단화: 113mm 이상
- 장화: 178mm 이상
3. 크레인을 이용하여 활선전로에 인접하여 전주 세우기 작업을 하던 중 크레인이 전로에 접촉하며 운전자가 감전을 당하는 재해 발생. 동종재해 방지하기 위한 대책 3가지
- 차량 등을 충전전로로 부터 300cm이상 이격시키되, 대지전압이 50kV를 넘는 경우 10kV 증가할 때마다 10cm씩 증가
-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한 경우: 이격거리를 절연용 방호구 앞면까지
- 근로자가 차량과 접촉하지 않도록 울타리를 설치하거나 감시인 배치 등의 조치
- 접지된 차량 등이 충전전로와 접촉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지상의 근로자가 접지점에 접촉하지 않도록 조치
4. 작업자는 회전하는 롤러기의 롤러를 걸레로 청소 중. 자업 중 근로자의 손이 롤러에 말려드는 사고 발생. 이 사고의 핵심위험요인 2가지는?
- 롤러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청소
- 롤러기에 인터록장치가 미설치 됨(롤러의 가드를 제거할 경우 롤러가 작동하지 않는 인터록 장치를 설치해야함)
5. 화면에에서는 박공지붕 설치작업을 보여준다. 재해원인 3가지를 쓰시오
(화면: 박공 지붕 위에서 박공지붕을 설치하던 중 작업자가 미끄러지며 박공지붕 재료와 함께 추락, 지붕 아래에 다른 작업자가 누워서 휴식을 취하다가 비래하는 박공지붕에 맞는 사고 발생)
- 추락방호망 미설치
- 안전대 미착용
- 안전난간 미설치
- 위험한장소에서 근로자 휴식
6. 작업발판을 이용해 전동 톱으로 목재를 절단하던 중 작업자가 작업발판(높이 60cm 이상)의 불균형으로 넘어지는 재해가 발생
(1) 가해물
(2) 재해발생형태
(1) 바닥
(2) 떨어짐
7. 작업자는 DMF(디메틸포름아미드) 취급 작업을 하는 중. DMF작업 시 작업자가 착용해야 할 보호구
- 불침투성 보호복(화학물질용 보호복)
- 보호장갑(화학물질용 안전장갑)
- 보호장화(화학물질용 안전화)
- 호흡용보호구(방독마스크)
- 보안경
8. 작업자는 자동차부품을 도금 후 세척하는 작업 중.
(화면: 작업자는 담배를 물고 운동화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 중)
(1) 위 작업의 위험예지훈련을 하려함. 근로자가 지켜야 할 행동목표 2가지
(2) 세척조에서 신너를 사용시 예상되는 재해유형
(1) 근로자 행동목표
- 작업 중 흡연 금지
- 세척작업 중 화학물질용 안전화(고무장화)를 착용
(2) 폭발, 화재
'공부 >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3회 3부 (0) | 2020.07.27 |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3회 2부 (0) | 2020.07.27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2회 3부 (0) | 2020.07.27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2회 2부 (0) | 2020.07.27 |
(산안기)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15년 2회 1부 (0) | 2020.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