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인간공학기사 실기

(인간공학기사) 실기 2020년 3회

by Alan21 2021. 10. 4.
반응형

1. 수평면 작업영역 2가지 (4)

  • 정상작업영역: 상완을 자연스럽게 수직으로 늘어뜨린 채, 전완만으로 편하게 뻗어 파악할 수 있는 구역(34~45cm)
  • 최대작업영역: 전완과 상완을 곧게 펴서 파악 할 수 있는 구역(55~65cm)



2.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조명수준 (4)

작업의 종류 작업면 조명도
초정밀 작업 (1)
정밀 작업 (2)
보통 작업 (3)
기타 작업 (4)


(1) 750 lux 이상
(2) 300 lux 이상
(3) 150 lux 이상
(4) 75 lux 이상


3. 서블릭 기호 중 효율적인 것 2개와 비효율적인 것 2개의 기호 (4)

효율적 서브릭 비효율적 서브릭
기본동작 부문 1. 빈손 이동(TE) 정신적 또는 반정신 부문 1. 찾기 (Sh)
2. 쥐기 (G) 2. 고르기 (St)
3. 운반 (TL) 3. 검사(I)
4. 내려놓기 (RL) 4. 바로놓기 (P)
5. 미리놓기 (PP) 5. 계획 (Pn)
동작목적을 가진 부문 1. 조립 (A) 정체 부문 1. 휴식 (R)
2. 사용 (U) 2. 피할 수 있는 지연 (AD)
3. 분해 (DA) 3. 잡고있기 (H)
  4. 불가피한 지연 (UD)



4. 양립성의 정의와 각 종류 (6)

(1) 양립성: 자극들 간의, 반응들 간의 혹은 자극-반응 조합의 공간, 운동 혹은 개념적 관계가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것
: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 자극과 반응
(2) 종류:

  • 개념 양립성: 코드나 심벌의 의미가 인간이 갖고 잇는 개념과 양립
  • 운동 양립성: 조종기를 조작하여 표시장치상의 정보가 움직일 때 반응결과가 인간의 기대와 양립
  • 공간 양립성: 공간적 구성이 인간의 기대와 양립


5. 100개의 제품 불량 검사 결과. 불량 제품을 불량 판정 내리는 것을 Hit라고할때, 각각의 확률은? (8)

구분 불량 제품 정상 제품
불량 판정 2 5
정상 판정 3 90

(1) P(S/S)
(2) P(S/N)
(3) P(N/S)
(4) P(N/N)

(1) Hit, P(S/S): Signal(본 문제에서 불량)을 Signal로 판정
= 2/5 = 0.4

(2) False Alarm, P(S/N): Noise(본 문제에서 정상)를 Signal로 판정
= 5/95 = 0.053

(3) Miss, P(N/S): Signal을 Noise로 판정
= 3/5 = 0.6

(4) Correct Noise, P(N/N): Noise를 Noise로 판정
= 90/95 = 0.947


6. 아래와 같은 경우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인체치수 설계원칙은? (5)

비상구의 높이 열차의 좌석간 거리 그네의 중량 하중

<최대집단값에 의한 설계>
(1) 통상 대상 집단에 대한 관련 인체측정변수의 상위 백분위수를 기준으로 하여 90, 95, 99%값이 사용
(2) 문, 탈출구, 통로 등과 같은 공간여유를 정하거나 줄사다리의 강도 등을 정할때 사용


7. 11개 공정의 소요시간이 다음과 같을 때 물음에 답하시오 (6)

1공정 2공정 3공정 4공정 5공정 6공정 7공정 8공정 9공정 10공정 11공정
2분 1.5분 3분 2분 1분 1분 1.5분 1.5분 1.5분 2분 1분

(1) 주기시간
(2) 시간당 생산량
(3) 공정효율

(1) 3분 (가장 긴 작업이 3분이므로 주기시간은 3분)
(2) 60분/3분 = 20개 (1개에 3분)
(3) 공정 효율 = 총 작업시간 / (작업장 수*주기시간)
= 18/11*3 = 0.55 = 55%


8. 한 사이클의 관측평균시간이 10분, 레이팅계수가 120%이며, 여유율이 10%일 때 개당 표준 시간을 계산 하시오. 이때 여유율을 나타내는 두가지 방법에 따라 각각 구하시오 (6)

(1) 외경법
표준시간(ST) = 정미시간 * (1+여유율) = (10*1.2) * (1+0.1) = 13.2분

(2) 내경법
표준시간(ST) = 정미시간 * (1 / (1-여유율)) = (10*1.2) * (1 / (1-0.1)) = 13.33분


9. 반사경 없이 모든 방향으로 빛을 발하는 점광원에서 3m 떨어진 곳의 조도가 50 lux라면, 5m떨어진 곳의 조도는? (5)

  • 조도 = 광량 / (거리)^2
  • 광량 = 50*9 cd
  • 조도 = 50*9 / 25 = 18 lux

 

 

 

10. 조종장치의 손잡이 길이가 3cm이고, 90도를 움직였을 때 표시장치에서 3cm가 이동 하였다. 아래에 답하시오 (8)

(1) C/R비
(2) 민감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2가지

(1) C/R 비 = (a/360)*2πL / 표시장치이동거리
= (90/360)*2π*3cm / 3cm = 1.57

(2)

  • 조종장치 움직이는 각도는 그대로, 표시장치의 이동거리를 크게 한다
  • 조종장치의 움직이는 각도를 작게, 표시장치의 이동거리는 그대로 한다.



11. 코딩의 방법/종류 6가지 (6)

(1) 색 코딩
(2) 형상 코딩
(3) 크기 코딩
(4) 촉감 코딩
(5) 위치 코딩
(6) 작동방법에 의한 코딩


12. 1000개의 제품 중 10개의 불량품 발견. 실제로 100개의 불량품이 있다면, 인간신뢰도는? (4)

  • 휴먼에러확율(HEP) = (100-10) / 1000 = 0.09
  • 인간신뢰도 = 1 - HEP = 1 - 0.09 = 0.91



13. 제이콥 닐슨 사용성 속성(척도) 중 3가지 (6)

(1) 학습용이성 : 초보자가 제품의 사용법을 얼마나 배우기 쉬운가
(2) 효율성 : 숙련된 사용자가 원하는 일을 얼마나 빨리 수행할 수 있는가
(3) 기억용이성 : 오랜만에 다시 사용하는 재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방법을 얼마나 기억하기 쉬운가
(4) 에러 빈도 및 정도 : 사용자가 실수를 얼마나 자주 하는가와 실수의 정도가 큰지 작은지 여부, 그리고 실수를 쉽게 만회활 수 있는지
(5) 주관적 만족도 : 제품에 대해 사용자들이 얼마나 만족하게 느끼고 있는가


14.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해 근골겨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 (단, 노동부장관이 필요하다고 명령하는 경우 제외) (5)

(1) 근골격계질환으로 요양결정을 받은 근로자가 연간 10인 이상 발생한 사업장
(2) 요양결정을 받은 근로자가 5인 이상 발생한 사업장으로서 그 사업장 근로자 수의 10%이상인 경우


15. 23kg의 물건 2개를 들 때, LI지수는? (단 ,RWL = 23kg) (5)

  • LI = 작업무게 / RWL = 23 * 2 / 23 = 2



16.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관리적 개선방안 3가지 (6)

(1) 작업의 다양성 제공 (작업 확대)
(2) 작업일정 및 작업속도 조절
(3) 작업자에 대한 휴식시간(회복시간) 제공
(4) 작업습관 변화
(5) 작업공간, 공구 및 장비의 정기적인 청소 및 유지보수
(6) 근골격계질환 예방체조의 도입 (운동체조 강화)
(7) 근골격계질환 관련 교육 실시
(8) 작업자 교대


17. 아래 조건을 보고 들기작업에 대해 NLE를 구하시오 (6)

작업물 무게 HM VM DM AM FM CM
8kg 0.45 0.88 0.92 1.00 0.95 0.80

(1) RWL 값은?
(2) LI 지수는?
(3) 조치 수준 설명

(1) RWL = LC * HM * VM * DM * AM * FM * CM
= 23kg(상수) * 0.45 * 0.88 * 0.92 * 1.00 * 0.95 * 0.8 = 6.37kg

(2) LI = 작업물 무게 / RWL = 8kg / 6.37kg = 1.26

(3) LI가 1보다 높은 작업은 요통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LI가1 이하가 되도록 설계/재설계 필요


18. 작업장의 8시간 작업 동안 발생한 소음수준과 발생시간은 아래와 같다. 소음 노출지수와 TWA는? (6)

90dB(A): 4.0시간 / 95dB(A): 3.0시간 / 100dB(A): 1.0시간

(1) 소음노출지수(%) = ( 4/8 + 3/4 + 1/2 ) *100 = 175%
* 85dB(A) - 16시간 삭제, / 90dB-8시간  5dB 상승시 시간 1/2

(2) TWA = 16.61 log(D/100) +90dB(A) (D = 소음노출지수)
= 16.61 log(175/100) +90dB(A)
= 94.04dB(A)

반응형